삶의 태도 29

[삶의태도 #19] 상처를 바라보는 태도: 고통에서 배움을 찾는 시선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이 달라진다.”우리는 누구나 상처를 받습니다. 관계에서, 일에서, 예기치 못한 사건 속에서.하지만 그 상처를 어떻게 바라보느냐는 선택의 문제입니다.회피하고 외면하면 상처는 곪고, 마주하고 해석하면 배움이 되고 방향이 됩니다.상처는 무조건 나쁜 것일까요?많은 사람들이 상처를 피해야 할 부정적인 것으로만 생각합니다.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오히려 이렇게 말합니다.“성장은 불편함에서 시작된다.”–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이론, 테데스키 & 칼훈상처가 우리를 힘들게 하지만, 그 안에 삶의 전환점이 숨어있습니다.물론 아픔을 견디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하지만 그 경험을 잘 ‘해석’하고 ‘정리’하면, 삶의 방향성과 가치관, 관계의 방식까지..

삶의 태도 2025.05.28

[삶의태도 #18] 외로움을 바라보는 태도: 홀로 있음의 의미

“외로움은 피해야 할 감정이 아니라, 나를 돌아보라는 내면의 메시지입니다.”왜 우리는 외로움을 두려워할까요?사람은 본능적으로 연결과 소속을 원합니다. 함께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존재를 확인하죠.그렇기에 ‘혼자 있음’은 종종 불안과 외로움으로 해석됩니다.하지만 모든 외로움이 부정적일까요?심리학자 존 카치오포(John Cacioppo)는 외로움을 정신적 면역 시스템이라 설명합니다. 즉, 외로움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내면의 경보 시스템’이며, 삶의 균형이 깨졌음을 알리는 신호라는 뜻이죠.외로움 vs 홀로 있음: 차이를 아시나요?우리가 흔히 혼동하는 두 개념이 있습니다.외로움은 ‘연결을 원하지만 그것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입니다."홀로 있음(Solitude)"은 ‘자발적이고 의도된..

삶의 태도 2025.05.23

[삶의태도 #17] 열등감을 바라보는 태도: 비교 대신 자존을 키우는 법

“나는 왜 자꾸 남과 비교하게 될까?”“나만 뒤처진 것 같고, 괜히 초라해져요…” 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보셨죠?누구에게나 있는 감정, 바로 열등감입니다.하지만 이 감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하고, 반응하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열등감은 왜 생기고, 왜 힘들까요?심리학자 알프레드 아들러(Alfred Adler)는 인간은 누구나 어느 정도의 열등감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습니다.그 감정은 성장을 향한 본능적인 욕구에서 비롯되기 때문입니다.그런데 문제는 이 열등감이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왜곡되기 시작할 때 생깁니다.“나는 왜 저 사람처럼 못할까?”“왜 나는 아직도 여기지?”“내가 해온 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아…”이런 생각들이 계속 쌓이면, 자기 확신이 무너지고, 자기 의심이 자라..

삶의 태도 2025.05.21

[삶의태도 #16] 불안을 바라보는 태도: 마음의 평온을 선택하는 기술

왜 나는 항상 불안할까?”“이 불안을 없애야 성장할 수 있는 걸까?”이런 질문, 해보신 적 있나요?불안은 나쁜 감정일까요? 아니면 삶에서 꼭 필요한 메시지일까요?이번 글에서는 불안을 다르게 바라보는 태도와 함께, 평온함을 선택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소개합니다.불안은 '문제'가 아니라 '메시지'입니다불안을 느낄 때 대부분은 “이 감정을 없애고 싶다”는 생각을 먼저 합니다.하지만 심리학자 칼 로저스(Carl Rogers)는 감정을 "내면에서 보내는 신호" 라고 설명합니다.불안도 마찬가지입니다.방향을 잃었을 때감정이 억눌렸을 때기대에 비해 준비가 부족할 때불안은 우리에게 무언가 점검하라고 말해주는 신호입니다.그러니 먼저 이렇게 물어보세요.“이 불안은 나에게 어떤 말을 하고 있을까?” “지금 내 삶에서 놓치고 있..

삶의 태도 2025.05.16

[삶의태도 #15] 내면의 목소리를 바라보는 태도: 자기 성찰의 시작

"자신을 마주하는 사람만이, 진짜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우리는 왜 자기 성찰이 필요한가요?하루가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바쁜 일상 속,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 걸까?” 성과는 나쁘지 않은데, 이상하게 마음 한구석이 비어 있는 느낌.그럴 땐 스펙도, 연봉도, 타인의 시선도 아닌 나의 내면에 집중해볼 때입니다.심리학에서는 이를 "자기 인식(self-awareness)"이라고 합니다.정서지능의 개념을 제시한 심리학자 다니엘 골먼(Daniel Goleman)은 이렇게 말합니다.“자기 인식이 없는 사람은,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반응만 할 뿐, 삶을 주도할 수 없다.” 바로 이 자기 인식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자기 성찰" 입니다.자기 성찰, 단순한 ‘회고’..

삶의 태도 2025.05.14

[삶의태도 #14] 단점을 바라보는 태도: 결핍을 사랑하는 연습

“결점은 나를 망치는 것이 아니라, 나를 완성해가는 퍼즐 조각이다.”누구나 단점은 가지고 있습니다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단점을 부끄러워하고 감추려 합니다.오히려 장점보다 단점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왜일까요?우리 사회는 ‘잘난 사람’ ‘완벽한 사람’을 칭찬하고, ‘부족한 모습’을 들키지 않도록 훈련받게 만듭니다.그러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자신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나는 왜 이 모양이지?”“왜 나는 이것밖에 안 되는 걸까?” 하지만 조금만 관점을 바꾸면, 단점은 나만의 고유한 특성이자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심리학이 말하는 ‘단점’에 대한 건강한 태도긍정심리학의 창시자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은 “자기 인식은 자기 존중감과 자기 효..

삶의 태도 2025.05.09

[삶의태도 #13] 감정을 바라보는 태도: 흔들려도 무너지지 않는 법

흔들림은 자연스러운 것이다우리 모두는 인생의 어느 순간, 감정의 폭풍 속에 서 있습니다.슬픔, 분노, 불안, 외로움... 그런 감정들이 올라올 때 우리는 흔히 "이 감정을 빨리 없애야 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하지만 감정은 억누르거나 통제할 대상이 아닙니다.감정은 내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알려주는 내면의 신호입니다.감정을 대하는 세 가지 태도 1. 감정을 ‘바라보는’ 태도: 나는 지금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감정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피하거나 억누르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내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솔직하게 알아차리는 것입니다.“나는 불안하다”가 아니라“나는 지금 불안을 느끼고 있다”라는 식으로 감정을 나와 분리해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이런 태도는 심리학적으로 마음챙..

삶의 태도 2025.05.07

[삶의태도 #12] 삶의 리듬을 바라보는 태도: 쉼과 몰입의 균형

"열심히 살아야 해"라는 말, 너무 익숙하지 않으신가요?그런데 묻고 싶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살아서, 정말 만족스러운가요?"현대인의 삶은 몰입과 생산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습니다.하지만 진짜 지속 가능한 성장은 '쉼과 몰입의 리듬'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몰입과 쉼을 바라보는 심리학적 시선과 실천 전략을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몰입만으로는 완성되지 않는 삶몰입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몰입에만 집착하면 쉽게 지치고 방향을 잃습니다.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은 우리가 번창(Flourish)하는 삶을 살기 위해선 성취뿐 아니라 의미, 긍정 감정, 관계, 회복력이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몰입은 성장을 위한 추진력이지만, 쉼은 회복을 위한 연료입니다.쉼 없이 몰입만 추구하는..

삶의 태도 2025.05.02

[삶의태도 #11] 꾸준함을 바라보는 태도: 하루 1%의 기적

“작은 차이가 인생을 결정짓는다.”이 문장을 단순한 동기부여 문구로 치부해선 안 됩니다.심리학, 뇌과학, 행동경제학에서는 반복성과 미세한 변화의 축적이 정체성과 삶의 궤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우리는 왜 변화하려 하고, 또 왜 번번이 실패하는 걸까요?그 답은 단순히 ‘의지 부족’이 아니라, 꾸준함을 바라보는 관점과 실행 방식의 오류에 있습니다.꾸준함은 성장을 이끄는 복리 구조다하루 1%의 성장은 연간 약 37.78배의 복리 성장입니다. 이는 수학적 계산이지만, 동시에 인지적·정서적 성장의 본질을 설명하는 메타포이기도 합니다.💡 행동과학자 B.J. 포그(B.J. Fogg)는 ‘Tiny Habits’ 이론에서, 작은 습관이 ‘행동 설계’의 단위가 되며 뇌에 무리 없이 내재화된다고 설명합니다...

삶의 태도 2025.04.30

[삶의태도 #10] 선택을 바라보는 태도: 더 나은 결정을 위한 기준

우리는 매일 수많은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아침에 일어나 어떤 옷을 입을지, 점심에 무엇을 먹을지부터 직장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맡을지, 중요한 관계를 어떻게 이어갈지까지—평범한 하루 일상을 보내는 건강한 성인들의 경우 하루에 평균 6,000번 이상의 생각을 하고 1650번 정도의 선택을 한다고 합니다.하지만 모든 선택이 같지는 않죠.특히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택들, 예를 들면 “이 일을 계속해도 될까?”, “지금의 삶이 내가 원하는 모습인가?” 와 같은 질문 앞에서는 쉽게 결정 내리기 어려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왜 우리는 중요한 선택 앞에서 망설이게 될까요?선택이 어려운 이유: 심리학적으로 보는 3가지 원인 1. 선택 과부하 (Decision Overload)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결정 능력..

삶의 태도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