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삶의 태도 15

[삶의태도 #15] 내면의 목소리를 바라보는 태도: 자기 성찰의 시작

"자신을 마주하는 사람만이, 진짜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우리는 왜 자기 성찰이 필요한가요?하루가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바쁜 일상 속,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나는 지금 잘 살고 있는 걸까?” 성과는 나쁘지 않은데, 이상하게 마음 한구석이 비어 있는 느낌.그럴 땐 스펙도, 연봉도, 타인의 시선도 아닌 나의 내면에 집중해볼 때입니다.심리학에서는 이를 "자기 인식(self-awareness)"이라고 합니다.정서지능의 개념을 제시한 심리학자 다니엘 골먼(Daniel Goleman)은 이렇게 말합니다.“자기 인식이 없는 사람은,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반응만 할 뿐, 삶을 주도할 수 없다.” 바로 이 자기 인식을 키우는 가장 좋은 방법이 "자기 성찰" 입니다.자기 성찰, 단순한 ‘회고’..

삶의 태도 08:01:40

[삶의태도 #14] 단점을 바라보는 태도: 결핍을 사랑하는 연습

“결점은 나를 망치는 것이 아니라, 나를 완성해가는 퍼즐 조각이다.”누구나 단점은 가지고 있습니다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단점을 부끄러워하고 감추려 합니다.오히려 장점보다 단점을 먼저 떠올리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왜일까요?우리 사회는 ‘잘난 사람’ ‘완벽한 사람’을 칭찬하고, ‘부족한 모습’을 들키지 않도록 훈련받게 만듭니다.그러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자신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나는 왜 이 모양이지?”“왜 나는 이것밖에 안 되는 걸까?” 하지만 조금만 관점을 바꾸면, 단점은 나만의 고유한 특성이자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심리학이 말하는 ‘단점’에 대한 건강한 태도긍정심리학의 창시자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은 “자기 인식은 자기 존중감과 자기 효..

삶의 태도 2025.05.09

[삶의태도 #13] 감정을 바라보는 태도: 흔들려도 무너지지 않는 법

흔들림은 자연스러운 것이다우리 모두는 인생의 어느 순간, 감정의 폭풍 속에 서 있습니다.슬픔, 분노, 불안, 외로움... 그런 감정들이 올라올 때 우리는 흔히 "이 감정을 빨리 없애야 해"라고 생각하곤 합니다.하지만 감정은 억누르거나 통제할 대상이 아닙니다.감정은 내가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알려주는 내면의 신호입니다.감정을 대하는 세 가지 태도 1. 감정을 ‘바라보는’ 태도: 나는 지금 무엇을 느끼고 있는가? 감정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피하거나 억누르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내가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솔직하게 알아차리는 것입니다.“나는 불안하다”가 아니라“나는 지금 불안을 느끼고 있다”라는 식으로 감정을 나와 분리해 바라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이런 태도는 심리학적으로 마음챙..

삶의 태도 2025.05.07

[삶의태도 #12] 삶의 리듬을 바라보는 태도: 쉼과 몰입의 균형

"열심히 살아야 해"라는 말, 너무 익숙하지 않으신가요?그런데 묻고 싶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살아서, 정말 만족스러운가요?"현대인의 삶은 몰입과 생산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방향으로 흘러왔습니다. 하지만 진짜 지속 가능한 성장은 '쉼과 몰입의 리듬'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몰입과 쉼을 바라보는 심리학적 시선과 실천 전략을 함께 나눠보고자 합니다.몰입만으로는 완성되지 않는 삶몰입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몰입에만 집착하면 쉽게 지치고 방향을 잃습니다.심리학자 마틴 셀리그만은 우리가 번창(Flourish)하는 삶을 살기 위해선 성취뿐 아니라 의미, 긍정 감정, 관계, 회복력이 함께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몰입은 성장을 위한 추진력이지만, 쉼은 회복을 위한 연료입니다.쉼 없이 몰입만 추구..

삶의 태도 2025.05.02

[삶의태도 #11] 꾸준함을 바라보는 태도: 하루 1%의 기적

“작은 차이가 인생을 결정짓는다.”이 문장을 단순한 동기부여 문구로 치부해선 안 됩니다.심리학, 뇌과학, 행동경제학에서는 반복성과 미세한 변화의 축적이 정체성과 삶의 궤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우리는 왜 변화하려 하고, 또 왜 번번이 실패하는 걸까요?그 답은 단순히 ‘의지 부족’이 아니라, 꾸준함을 바라보는 관점과 실행 방식의 오류에 있습니다.꾸준함은 성장을 이끄는 복리 구조다하루 1%의 성장은 연간 약 37.78배의 복리 성장입니다. 이는 수학적 계산이지만, 동시에 인지적·정서적 성장의 본질을 설명하는 메타포이기도 합니다. 💡 행동과학자 B.J. 포그(B.J. Fogg)는 ‘Tiny Habits’ 이론에서, 작은 습관이 ‘행동 설계’의 단위가 되며 뇌에 무리 없이 내재화된다고 설명합니..

삶의 태도 2025.04.30

[삶의태도 #10] 선택을 바라보는 태도: 더 나은 결정을 위한 기준

우리는 매일 수많은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아침에 일어나 어떤 옷을 입을지, 점심에 무엇을 먹을지부터 직장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맡을지, 중요한 관계를 어떻게 이어갈지까지—평범한 하루 일상을 보내는 건강한 성인들의 경우 하루에 평균 6,000번 이상의 생각을 하고 1650번 정도의 선택을 한다고 합니다.하지만 모든 선택이 같지는 않죠.특히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택들, 예를 들면 “이 일을 계속해도 될까?”, “지금의 삶이 내가 원하는 모습인가?” 와 같은 질문 앞에서는 쉽게 결정 내리기 어려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왜 우리는 중요한 선택 앞에서 망설이게 될까요?선택이 어려운 이유: 심리학적으로 보는 3가지 원인 1. 선택 과부하 (Decision Overload)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결정 능력..

삶의 태도 2025.04.25

[삶의태도 #9] 인내를 바라보는 태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의 사고방식

왜 어떤 사람은 끝까지 해내는가?“어떻게 저 사람은 저렇게 참을 수 있을까?”누군가를 보며 이렇게 생각해본 적 있으실 겁니다.하지만 인내는 타고나는 성격이 아니라, 연습되고 단련되는 힘입니다.인내란 고통을 참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멈추지 않고 나아가는 힘입니다.오늘은 인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고,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인내의 본질: 감정을 조절하고 목표에 집중하는 힘심리학에서는 인내를 자기조절력과 깊이 연결지어 설명합니다.즉, 순간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더 큰 목표를 위해 행동을 조정하는 능력입니다.“인내는 참고 견디는 게 아니라, 미래의 나를 위한 선택을 지금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 당장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도, “이건 나중에 후회할 거야”..

삶의 태도 2025.04.23

[삶의태도 #8] 도전을 바라보는 태도: 가능성의 문을 여는 열쇠

우리는 인생이라는 긴 여정 속에서 수많은 선택과 마주합니다. 그 중에서도 도전은 누구에게나 낯설고 두려운 단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 도전이 삶의 방향성과 성장을 결정짓는 가장 강력한 열쇠가 됩니다.“불확실성 속으로 들어가는 용기 없이, 성장도 없다.”— 심리학자 캐럴 드웩(Carol S. Dweck), 『성장 마인드셋』에서이 글에서는 도전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내 삶의 가능성을 여는 태도에 대해 깊이 있게 탐색해보겠습니다.왜 어떤 사람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을까?도전 앞에서 주저하지 않는 사람들은 대개 다음의 두 가지 마인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들 심리학자 캐럴 드웩(Carol Dweck)은 인간의 학습과 성장을 설명하며, 고정 마인드셋(fixed mindse..

삶의 태도 2025.04.18

[삶의태도 #7] 성장을 바라보는 태도: 어제보다 나아지는 하루

성장이라는 개념, 그 본질에 대하여성장은 흔히 외형적 성취로 오해됩니다. 연봉 인상, 직위 상승, 자격증 취득 같은 가시적 결과가 전부일까요? 그러나 진짜 성장은 내면의 확장과 지속가능한 변화 능력입니다.심리학자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는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을 인간 욕구의 최정점에 두며, 이를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로 실현하려는 욕구”라 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장은 ‘지금의 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을 실현하려는 ‘존중의 행위’라는 사실입니다.성장지향적 태도란 무엇인가? 1) 방향성과 통합된 자기 인식 성장을 위한 태도는 먼저 자기 인식(self-awareness)에서 시작됩니다. HRD 관점에서 보면, 성장은 단순히 역량을 키우는 것..

삶의 태도 2025.04.16

[삶의태도 #6] 목표를 바라보는 태도: 방향 있는 삶의 설계

목표는 ‘의미 있는 여정’의 출발점입니다“왜 살아가는가?”라는 질문은 철학적인 동시에 실용적인 인생 전략의 핵심입니다. 단지 무엇을 성취할지가 아니라, 어떻게 존재할 것인지, 그리고 그 삶이 내 삶의 본질과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를 되묻는 과정이 바로 목표 설정입니다.심리학자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은 "삶의 의미를 찾는 사람만이 역경을 이겨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목표란 바로 그 삶의 의미를 향한 방향성 있는 행위의 총합입니다.‘성장 지향 목표’의 심리학적 기반현대 심리학에서 목표는 단순한 의지의 문제가 아닙니다. 내면적 동기, 정체성, 삶의 맥락이 얽힌 복합 구조입니다. 그중에서도 ‘성장 지향 목표(Growth-Oriented Goals)’는 다음의 세 가지 요소를 갖출 때 내적으로..

삶의 태도 2025.04.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