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키우기

[리더십키우기 #3] 성공적인 리더들이 공통으로 가진 5가지 특성 : 리더십의 핵심 요소를 점검하고, 나만의 리더십을 키우는 실전 가이드

딥마인드 2025. 3. 12. 08:35

리더십-3-핵심역량-커뮤니케이션-의사결정-변화관리

“탁월한 리더는 따르는 사람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그 가능성을 꽃피운다.”
– 워렌 베니스 (Warren Bennis)

 

리더십은 특별한 사람들만 갖는 능력이 아닙니다.
리더십은 ‘학습하고 훈련하면 키워질 수 있는 힘’이며, 조직, 관계, 개인 성장의 중심축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연구와 실제 리더들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리더들이 가진 핵심 특성 5가지를 정리하고, 여러분 스스로의 리더십을 진단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실천 팁까지 함께 소개합니다.

자기인식(Self-awareness) – ‘나는 누구인가’를 아는 힘

성공적인 리더는 자신의 감정, 행동 패턴, 장단점, 가치관을 깊이 인식합니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자기관리’의 첫걸음입니다.

심리학자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은 감성지능(EQ)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기인식’을 꼽았습니다.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면 타인을 이끄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이죠.

💬 나는 어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을까?
그때 나는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이런 질문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 스타일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비전 제시력(Vision) – 방향을 말하는 리더

탁월한 리더는 “우리가 왜 이 일을 하는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를 분명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비전을 통해 리더를 따르며, 비전은 리더십의 본질이다" - 존 코터(John Kotter)

 

구성원들은 리더의 말과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일에 의미를 부여하고 동기부여를 받습니다.

💬 당신의 팀은 지금 무엇을 위해 움직이고 있나요?
그 여정을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나요?

공감력(Empathy) – 함께 걷는 리더의 기본기

성공적인 리더는 지시보다 공감을 먼저 합니다.
공감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조직 내 심리적 안전감을 형성하는 강력한 기술입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에서는 “공감 능력이 뛰어난 리더는 팀의 창의성과 협업력을 높인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세대와 가치관이 다양한 팀에서는, 공감력은 ‘신뢰 기반의 소통’으로 가는 지름길이 됩니다.

💬 최근에 팀원 혹은 동료의 감정을 민감하게 포착한 적이 있나요?
그 상황에서 나는 어떤 반응을 했나요?

복합적 사고력(Complex Thinking) – 빠른 판단보다 깊은 사고

현대의 리더는 복잡한 문제를 다층적으로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과거의 경험보다 메타인지와 사고 프레임입니다.

헨리 민츠버그는 리더를 "의사결정 아키텍트’"라고 정의하면서,

“좋은 리더는 단순히 빠르게 결정하는 사람이 아니라 구성원과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통합해 ‘더 나은 선택’을 설계하는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 최근의 의사결정 중, 다시 돌아간다면 바꾸고 싶은 결정이 있나요?
그 결정에 어떤 요소를 더 고려했어야 했을까요?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 – 끊임없이 배우는 리더

성공한 리더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실패를 통해 배우고, 변화 속에서 더 나은 방향을 찾는 능력이 탁월합니다.

스탠퍼드 대학교의 "캐롤 드웩(Carol Dweck)"은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사람은 도전 앞에서 멈추지 않고, 반복 학습을 통해 스스로를 개선한다”고 밝혔습니다.

 

변화와 위기가 끊이지 않는 시대, 학습하는 리더는 결국 살아남고, 성장하며, 영향력을 넓힙니다.

💬 나는 최근 어떤 ‘실패’를 했고, 거기서 어떤 ‘교훈’을 얻었나요?
그 교훈은 내 리더십에 어떤 자양분이 되었나요?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당신의 리더십은 어디쯤일까요?

 

다음 문항 중 해당하는 항목에  ‘✅’ 하세요. 

  • ☐ 나는 내 감정, 반응 패턴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 ☐ 우리 팀의 비전과 목표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다
  • ☐ 팀원의 감정을 비언어적 신호까지 고려해 읽으려 노력한다
  • ☐ 의사결정 시, 단기보다 중·장기 영향을 고려한다
  • ☐ 실패 후 나와 팀이 성장할 수 있도록 피드백한다

3개 이상 ' '됐다면, 이미 강력한 리더십의 씨앗을 갖고 계십니다!

리더십 3줄 저널” 실전 루틴 제안

매일 5분 루틴 실천 팁

매일 하루의 끝에 아래 세 가지 질문에 대해 짧게 기록해보세요.

  1. 오늘 내가 보여준 ‘리더다운 행동’은 무엇이었나?
  2. 감정적으로 대응한 순간은 언제였고, 그 이유는 무엇이었나?
  3. 내일 더 나은 리더가 되기 위해 무엇을 실천할 것인가?

이 루틴은 자기인식 → 성찰 → 행동 개선의 순환을 만들어내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마무리하며 – “리더십은 당신 안에서 자라납니다”

리더십은 자리에 따라 생기지 않습니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존중하며,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능력에서 시작됩니다.

오늘 글을 읽고 ‘나도 이런 리더가 되고 싶다’는 마음이 드셨다면, 그 시작은 바로 오늘의 선택에서 비롯됩니다.

 

지금 가장 닮고 싶은 리더를 떠올려 보세요. 그 리더의 어떤 특성이 당신에게 인상 깊었나요?

당신도 그 특성을 키워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