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키우기

[리더십키우기 #4] 리더의 자기인식 – 진짜 나를 아는 힘

딥마인드 2025. 3. 14. 08:09

리더의 자기 인식

"위대한 리더십은 자신을 인식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리더십의 심층 기반, 자기인식

리더십은 행동으로 표현되지만, 그 뿌리는 인식의 깊이에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기인식(Self-awareness)’은 모든 리더십의 출발점이자 본질입니다.

심리학자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은 감성지능(EQ)의 다섯 요소 중 자기인식을 가장 먼저 강조했으며, 그는 자기인식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자기인식은 자신의 감정, 생각, 동기, 가치, 행동의 영향을 명확히 인식하는 능력이다.”

 

자기인식이 높은 리더는 감정의 흐름을 읽고, 자기 신념을 검토하며, 행동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곧 리더 자신의 감정, 사고, 의사결정이 팀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하는 "내면 기반 리더십"으로 이어집니다.

왜 지금 ‘자기인식’인가?

McKinsey & Company의 리더십 보고서(2022)에 따르면, 자기인식 수준이 높은 리더는 그렇지 않은 리더에 비해 팀의 성과지표가 평균 20% 이상 더 우수하다고 합니다.
이는 단지 개인의 인성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반의 리더십 역량 구조를 좌우하는 근본적 변수입니다.

현대 리더십은 더 이상 지시·통제 중심이 아닌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타인과 협력하는 리더십"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인식이 부족한 리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 상황에 직면합니다:

  • 감정이 격해질 때, 팀원에게 무의식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줍니다.
  • 피드백을 받을 때 방어적 태도로 일관하여 성장의 기회를 놓칩니다.
  • 자신의 가치와 행동 사이의 불일치를 인식하지 못해 리더십의 신뢰를 잃습니다.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당신의 자기인식 수준을 점검해보세요

다음 문항 중 해당하는 항목에  ‘✅’ 하세요. 

  • ☐ 나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다.
  • ☐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 ☐ 감정에 따라 말투나 표정이 바뀌는 걸 인식한다.
  • ☐ 타인의 피드백에 ‘왜 그런 말을 했는가’를 탐색해본다.
  • 내 ☐ 행동이 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의식한다.
 

3개 이상 ‘ ’라면 자기인식의 기초가 잘 형성되어 있습니다.
2개 이하라면 지금부터 리더십 기반을 ‘내면’에서부터 다시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자기성찰, 어떻게 훈련할 수 있을까?

자기인식은 노력으로 키울 수 있는 리더십 역량입니다.
그 핵심은 정기적 자기성찰 루틴 + 타인의 피드백 수용이라는 두 축을 갖추는 데 있습니다.

 매일 5분 ‘감정-사고-가치 성찰 루틴’

  STEP 1. 오늘 가장 인상 깊은 감정은 무엇이었는가?
  STEP 2. 그 감정의 원인과 내 사고방식은 무엇이었는가?
  STEP 3. 그 행동은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와 일치했는가?

  이 루틴은 단순한 반성일지를 넘어서, 감정→사고→행동→가치까지 연결하는 통합적 자기 리더십 루틴입니다.
1  주일만 실천해보셔도 내면 인식의 해상도가 놀라울 만큼 향상됩니다.

리더로서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3가지 질문

  1. 나는 내가 느끼는 감정의 근원을 인식하고 있는가?
  2. 나는 내 리더십 스타일이 내 가치와 일치하는가?
  3. 나는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되돌아볼 수 있는 피드백 루프를 가지고 있는가?

이 질문은 단지 글 속에서 던지는 질문이 아닙니다.
리더가 매일 스스로에게 해야 할 ‘자기 성찰 루틴’의 일부로 삼으셔도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 리더십은 자기인식에서 출발합니다

탁월한 리더는 위기 속에서 빠른 결정을 내리기 전에 먼저 자신의 내면을 점검합니다.
조직을 움직이는 힘은 외부를 통제하는 능력보다, 내면을 조율하는 능력에서 비롯됩니다.

리더의 진짜 성장은,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깊고 정직한 인식에서 출발합니다.

지금,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세요.
“나는 진짜 나를 알고 있는가?”
이 질문이 여러분의 리더십을 한층 더 깊은 수준으로 이끄는 출발점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