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분야에서 딥러닝 기반 서로게이트 모델(Surrogate Model)을 적용할 때,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예측의 신뢰도입니다.
실제 공학 해석에서는 단순한 예측 정확도보다 불확실성에 대한 해석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신뢰성 확보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Uncertainty Quantification (UQ)**과 Active Learning은 서로게이트 모델링의 필수 구성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서로게이트 모델의 불확실성 정량화: 왜 필요한가?
전통적인 딥러닝 모델은 결과를 단일한 값으로 출력하지만, 현실의 공학 문제는 항상 데이터 노이즈, 모델 구조 오차, 훈련 데이터 부족 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예측에 대한 신뢰 구간 제공
- 고신뢰 영역과 저신뢰 영역을 구분하여 설계 적용 여부 판단
- 데이터 수집 및 시뮬레이션 비용 최적화
대표적인 UQ 기법:
1. Bayesian Neural Network (BNN)
BNN은 **모델 파라미터(가중치)**를 확률분포로 간주하여 학습합니다.
- 장점: 전통적인 베이지안 이론 기반, 확률적 출력 가능
- 단점: 계산 복잡도 높고 학습 시간이 길어 실전 적용 어려움
2. Monte Carlo (MC) Dropout
Dropout을 학습뿐만 아니라 추론 시에도 적용하여 여러 번 추론 후 분산을 계산합니다.
- 장점: 구현이 간단하고 기존 모델에 쉽게 적용 가능
- 단점: 샘플 수가 적을 경우 정확한 분산 추정 어려움
Active Learning: 불확실성 기반 데이터 효율화 전략
딥러닝 학습에서 모든 데이터를 다 사용하는 것이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닙니다. 특히 시뮬레이션 비용이 높은 CAE에서는 가장 정보가 많은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학습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주요 전략
- Uncertainty Sampling: 예측 불확실성이 가장 높은 샘플 우선 선택
- Query by Committee: 여러 모델 간 의견 차이가 큰 샘플 우선
- Expected Model Change: 모델 업데이트 영향을 많이 줄 샘플 선택
실무 적용 예: 항공기 날개 설계 최적화에서 불확실성이 높은 설계 지점을 선별하여 고정밀 시뮬레이션 수행 → 전체 데이터 수 60% 이상 절감
UQ + Active Learning vs. 고전 FEM 비교표
항목 | 딥러닝 기반 UQ + Active Learning | 전통 FEM 기반 접근 |
신뢰도 표현 | 예측 불확실성 정량화 가능 (분산 등) | 결정론적 결과 (신뢰도 정보 없음) |
데이터 확보 전략 | 불확실한 영역 우선 학습 (효율적 샘플링) | 균일한 격자 생성 또는 전문가 판단 필요 |
계산 효율성 | 고비용 시뮬레이션 최소화 가능 | 모든 설계점 시뮬레이션 필요 |
구현 난이도 | 중간~높음 (추론 과정 복잡) | 상대적으로 단순 |
활용 분야 | 최적화, 신뢰성 설계, 실시간 예측 등 | 구조해석, 열해석, 유동해석 전반 |
잘 작동하지 않는 사례
- 학습 데이터의 불확실성이 모델 구조 자체의 오류일 경우
- 예측 변동성이 높은 영역에 데이터가 매우 부족한 경우
- 비선형성이 극단적으로 높은 경우: 예측 분산이 너무 커져 신뢰도 해석 자체가 무력화
핵심 요약
- 서로게이트 모델의 적용에서 예측 정확도만큼 중요한 것이 불확실성 평가입니다.
- Bayesian Neural Network, MC Dropout 등은 예측의 신뢰도를 계량화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 Active Learning은 불확실성이 높은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여 데이터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 FEM 방식과의 비교에서, 딥러닝 기반 방식은 신뢰도, 비용 효율성 면에서 큰 장점이 있으나, 구현 복잡성과 데이터의 질에 대한 의존성은 여전히 과제로 남습니다.
'CAE를 위한 서로게이트(Surrogate) 모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E를 위한 서로게이트 #10] CAE 데이터셋 생성 자동화 및 오픈소스 활용 가이드 (100) | 2025.07.20 |
---|---|
[CAE를 위한 서로게이트 #8] 딥러닝 기반 위상최적화 (Topology Optimization)의 새로운 접근 – CNN과 GNN이 바꾸는 구조 설계의 미래 (82) | 2025.07.06 |
[CAE를 위한 서로게이트 #7] Mesh-free 학습 : Point Cloud, Distance Field 기반 딥러닝 기법 (95) | 2025.06.29 |
[CAE를 위한 서로게이트 #6] 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PINN)의 실제 적용과 구현 전략 (112) | 2025.06.22 |
[CAE를 위한 써로게이트 #5] 실전 적용 전략: CAE 문제에 딥러닝 기반 서로게이트 모델을 설계하는 절차 (76) | 202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