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태도

[삶의태도 #10] 선택을 바라보는 태도: 더 나은 결정을 위한 기준

딥마인드 2025. 4. 25. 08:05

선택을 바라보는 태도

우리는 매일 수많은 선택을 하며 살아갑니다

아침에 일어나 어떤 옷을 입을지, 점심에 무엇을 먹을지부터 직장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맡을지, 중요한 관계를 어떻게 이어갈지까지—
평범한 하루 일상을 보내는 건강한 성인들의 경우 하루에  평균 6,000번 이상의 생각을 하고 1650번 정도의 선택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든 선택이 같지는 않죠.
특히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선택들, 예를 들면 “이 일을 계속해도 될까?”, “지금의 삶이 내가 원하는 모습인가?” 와 같은 질문 앞에서는 쉽게 결정 내리기 어려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왜 우리는 중요한 선택 앞에서 망설이게 될까요?

선택이 어려운 이유: 심리학적으로 보는 3가지 원인

 1. 선택 과부하 (Decision Overload)

  선택지가 많아질수록 오히려 결정 능력이 떨어지고 후회는 커진다는 심리학 이론이 있습니다.
  심리학자 베리 슈워츠(Barry Schwartz)는 이를 선택의 역설(The Paradox of Choice)’라 설명했죠.
  선택이 많을수록 우리는 ‘최선’을 고르려는 압박에 시달리고, 그만큼 후회할 가능성도 커집니다.

 2. 자기 기준의 부재

  자신만의 선택 기준이 없으면, 우리는 타인의 시선, 유행, 감정에 따라   즉흥적인 선택 또는 결정 회피로 흘러가기 쉽습니다.

 3. 책임 회피 심리 (Responsibility Aversion)

  심리학자 쉬나 아이엔가(Sheena Iyengar)에 따르면, 사람들은 중요한 선택에서   결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싶어 결정을 미루거나 남에게 위임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선택 앞에서 어떤 ‘태도’를 가져야 할까요?

선택은 단지 행동을 결정하는 일이 아닙니다.
그 선택을 하는 순간, 우리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가?"라는 정체성과 가치관에 대한 질문을 동시에 던지고 있는 셈입니다.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나의 선택 태도는 어떤가요?

다음 문항 중 해당하는 항목에  ‘✅’ 하세요. 

  • ☐ 선택할 때 ‘진짜 내가 원하는 것’부터 생각한다
  • ☐ 결과보다는 과정에서 배우는 것에 집중하려 한다
  • ☐ 내 삶의 우선순위가 명확하다
  • ☐ 중대한 결정일수록 충분히 고민하고 결정한다
  • ☐ 내가 내린 결정의 결과에 책임지는 편이다
 

3개 이상 '✅' 하셨다면, 비교적 자기주도적인 선택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
2개 이하 '✅' 라면, 지금이야말로 나만의 기준을 점검할 좋은 시기입니다.

더 나은 결정을 위한 3가지 기준

 1. 가치 기반 선택(Value-Oriented Decision)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따르면,   자신의 가치와 내면의 동기를 기준으로 선택한 결정은 삶의 만족도를 높여준다고 합니다.

  💬 질문: 이 선택은 나의 어떤 가치를 지지하는가?
            예: 자유, 안정, 성장, 관계, 배움, 영향력 등

 2. 장기적 시야 확보 (Long-Term Perspective)

  눈앞의 이익이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이 선택이 1년 뒤에도 나를 만족시킬 수 있을까?”라는   시간 지연 질문을 던져보세요.
  장기적 시야는 감정적 충동을 이겨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실행 가능한 결정인지 확인 (Actionable Decision)

  선택은 끝이 아니라 변화의 시작점입니다.
  아무리 멋진 결정도 실행으로 이어지지 않으면 삶은 바뀌지 않죠.
  선택 후 바로 실행 가능한 "작은 행동"을 함께 정해보세요.

자기 성찰 질문

  • 나는 지금 어떤 삶의 방향을 선택하고 있는가?
  • 내가 반복적으로 후회한 선택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 이번 선택은 타인의 기대에서 온 것인가, 내 안의 진심에서 온 것인가?

루틴으로 실천하기: “선택의 기준 일기 루틴”

루틴 이름: 오늘의 선택, 내일의 나를 위한 기록
소요 시간: 하루 5분
장소: 잠들기 전 조용한 공간

실천 방법:

  1. 오늘 내가 내린 중요한 혹은 사소한 선택 1가지를 기록하기
  2. 그 선택의 이유와 당시 감정 적어보기
  3. 다음 비슷한 상황에서는 어떤 기준을 적용하고 싶은지 정리

→ 이 루틴은 선택의 일관성과 자기 기준을 정립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글을 마치며

선택은 누구에게나 어렵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건, 좋은 선택을 위한 태도는 훈련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순간부터 당신은 더 나은 방향을 선택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